투케이2K

29. (운영체제/OperatingSystem) 선점 스케줄링 (preemptive scheduling) 개념 설명 본문

SE & OS & HW

29. (운영체제/OperatingSystem) 선점 스케줄링 (preemptive scheduling) 개념 설명

투케이2K 2022. 11. 25. 09:15
반응형

[학습 구분]

과목 : 운영체제

 

[설 명]

1. 선점 스케줄링 이란 시분할 시스템에서 타임 슬라이스가 소진되었거나, 인터럽트나 시스템 호출 종료 시에 더 높은 우선 순위 프로세스가 발생 되었음을 알았을 때, 현 실행 프로세스로부터 강제로 CPU를 회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타임 슬라이스 : 프로세스가 선점 다중 작업 시스템에서 실행할 수 있는 시간대를 타임 슬라이스(time slice) 또는 퀀텀(quantum)이라고합니다

2. 선점 스케줄링 은 우선 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빠르게 처리해야할 경우 유용 합니다

- CPU가 어떤 프로세스에 의해 점유 중일 때, 우선 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CPU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3. 선점 스케줄링 종류 :

- SRT (Shortest Remaining Time) 스케줄링 : 짧은 시간 순서대로 프로세스를 수행 (남은 처리 시간이 더 짧은 프로세스가 Ready 큐에 들어오면 그 프로세스가 바로 선점 됨)

- 라운드로빈 (Round-Robin) 스케줄링 : 각 프로세스는 같은 크기의 동일한 CPU 시간을 할당 받고 선입선출에 의해 수행 됨 (할당시간이 너무 크면 선입선출과 다를 바가 없어지고, 할당시간이 너무 작으면 오버헤드가 너무 커짐)

- 다단계 큐 (Multi-level Queue) 스케줄링 : Ready 큐를 여러 개 사용하는 기법 (각각의 큐는 자신의 스케줄링을 수행하며, 큐와 큐 사이에서 우선순위를 부여)

- 다단계 피드백 큐 스케줄링 (Multilevel Feedback Queue) : 다양한 특성의 작업이 혼합된 경우 매우 유용한 스케줄링 방법 (다단계 큐와 비슷하나 프로세스들이 큐를 이동할 수 있음)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