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케이2K

107. [IT 용어] LBS (Loc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 용어 설명 본문

IT기술 & IT용어

107. [IT 용어] LBS (Loc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 용어 설명

투케이2K 2022. 11. 4. 09:38
반응형

[제 목]

[IT 용어] LBS (Loc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 용어 설명

 

[설 명]

1. LBS 란 위치 기반 서비스 라고 불리며, 무선 인터넷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변경되는 위치에 따르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콘텐츠 서비스 들을 가리킵니다

2. LBS 는 크게 측위 기술 (LDT: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위치 처리 플랫폼 (LEP:Location Enabled Platform), 위치 응용 프로그램 (LAP:Location Application Program)의 3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보는 시각이 보편적입니다

- 측위 기술 : 무선 단말은 복수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로부터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측위 기능 전체를 직접 담당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그 좌표를 입력값으로 각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 위치 처리 플랫폼 : 측위 기술에 의해 얻어진 사용자나 사물의 위치를 취합하고 일관된 표현의 정보로 가공하여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응용 프로그램단의 구성요소들에 서비스하거나,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구성요소를 통틀어 일컫는다

- 위치 응용 프로그램 : 위치 처리 플랫폼과 통신하여 개별 사용자 및 사물의 위치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가공된 콘텐트를 제공하거나 수집된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뜻한다

3. 위치 기반 서비스 범위 :

- 지역적으로 분산된 자원의 관리 : 택시, 배달원, 대여 장비, 병원(의사), 선단 등

- 물자 위치 : 스스로 위치 보고를 할 수 없는 수화물이나 화물 상자 같은 물건들도 passive sensor나 RF 태그 등을 이용하여 위치 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 사람이나 물건 위치 찾기 : 필요한 서비스 제공자 (의사 등), 서비스 사업체, 이동 경로, 날씨, 교통 상황, 숙소 예약, 분실 휴대전화, 비상 구조 서비스 등

- 목표 근접 시 알림 기능 (Push형 또는 Pull형) : 목표 지정 광고, 친구 리스트, 데이트 상대 찾기, 공항 접근 시 자동 체크인

- 목표 근접 시 자동 수행 (Push형 또는 Pull형) : 위치 기반 자동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