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케이2K

16. 비트코인 (bitcoin, BTC) 개념 설명 및 블록체인 (blockchain) 연관 관계 설명 본문

IT기술 & IT용어

16. 비트코인 (bitcoin, BTC) 개념 설명 및 블록체인 (blockchain) 연관 관계 설명

투케이2K 2021. 3. 4. 08:21
반응형

/* =========================== */

[ 설 명 ]

[비트코인(bitcoin, BTC) 이란?]

- 비트코인(BTC)이란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인물이 작성한 논문을 바탕으로 2009년부터 운용되기 시작한 최초의 온라인 암호화폐(cryptocurrency)입니다

- 비트코인은 P2P(Peer-to-Peer) 방식을 사용하여 정부나 중앙은행의 개입없이 전 세계적으로 개인들 간의 금융거래를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비트코인은 일반 화폐와는 달리 향후 100년간 발행될 화페의 총량이 2100만 개로 미리 정해져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 비트코인은 2009년부터 비트 코인의 소스가 공개되어 이더리움(ethereum), 리플(ripple), 비트코인 캐시, 에이다 등 다양한 종류의 대안화폐(altcoin)들이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습니다

- 현재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비트코인을 암호화폐를 가상화페 또는 가상통화라는 용어로 부르고 있습니다

[블록체인(blockchain) 과 비트코인의 연관 관계]

-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자 간의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이에게 그 사실을 알리며, 이러한 거래 과정은 블록(block)이라는 단위로 구분됩니다 (한블록은 10분 단위 거래내역 집합)

-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현재까지 생성된 블록을 모두 이어놓은 것으로 현재까지 발생한 모든 비트코인의 거래 내역이 시간순으로 정리된 일종의 거래 장부 역할을 합니다

-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 데이터베이스 환경에 저장되므로 누구나 열람할 수 있지만, 어느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수는 없게 되어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비트코인 채굴 이란?]

- 기존의 일반 화폐는 중앙은행에서 통화를 찍어내지만, 비트코인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문제를 풀면 비트코인의 일정량이 만들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비트코인에서는 거래가 일어날 때마다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이에게 그 사실을 전파하며, 이렇게 전파된 거래 기록을 블록(block) 단위로 공식화하는 과정이 바로 채굴(mining)입니다

- 비트코인 채굴 작업에는 SHA-256이라는 해시 함수(hash function)가 사용되며, 이 함수는 입력된 숫자나 문자열을 256비트의 이진수로 바꾸어 출력해줍니다

- 해시 함수에 이전 블록의 해시 값과 현재 블록의 거래 내역들(transactions), 그리고 임의의 숫자인 nonce를 입력하여 얻은 결과값이 주어진 숫자보다 작도록 만들어주는 임의의 숫자 nonce를 찾는 것이 바로 채굴 작업입니다

- 채굴 과정은 공식 같은 것을 이용하여 답을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경우의 수를 일일이 대입해 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단순 작업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고사양의 그래픽 카드를 여러 대 연결하여 채굴 작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 =========================== */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