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데이터베이스 (102)
투케이2K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cursor 는 오라클 PL/SQL 내부에서 SQL 문장을 처리하는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 공간입니다 2. open 은 저장된 커서의 데이터를 가져올 때 사용합니다 3. fetch 는 저장된 데이터를 조작하고 읽어올 때 사용합니다 4. [Oracle] 코드 예시 : DECLARE /* [cursor 사용해 SQL 메모리 저장 및 fetch 행 출력 실시] 1. Cursor (커서) : PL/SQL 내부에서 SQL 문장을 처리하는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 공간입니다 2. Fetch (페치) : 행을 가져읍니다 3. Open : 저장된 커서의 데이터를 가져올 때 사용합니다 */ -- [명시적 커서 선언 : cu..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regexp_like 는 오라클에서 정규식을 사용해 특정 패턴 포함을 확인 할 수 있는 함수 입니다 2. regexp_like : oracle 10g 부터 사용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3. regexp_like(컬럼, 패턴) 방식으로 문법을 사용합니다 4. [Oracle] 코드 예시 : /* [regexp_like 정규식 패턴을 사용해 특정 패턴 포함 데이터 출력 실시] 1. regexp_like : oracle 10g 부터 사용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2. regexp_like(컬럼, 패턴) 방식으로 문법을 사용합니다 3. not regexp_like(컬럼, 패턴) 방식으로 문법을 사용합니다 4. ^[A..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regexp_count 는 오라클에서 정규식 패턴을 사용해 특정 문자 개수를 확인 할 수 있는 함수 입니다 2. regexp_count(컬럼 및 데이터 , 찾을려는 문자) 방법으로 문법을 사용합니다 3. [Oracle] 코드 예시 : /* [regexp_count 정규식 패턴을 사용해 문자열에 포함된 특정 문자 개수 확인 실시] 1. regexp_count : 정규식 패턴을 사용해 특정 문자 포함 개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regexp_count(컬럼 및 데이터 , 찾을려는 문자) 방법으로 문법을 사용합니다 */ select regexp_count('hello,twok,안녕,반가워', ',') as 문자..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WITH 는 오라클 임시 가상 테이블을 생성 할 수 있습니다 2. [Oracle] 코드 예시 : /* [임시 가상 테이블 만들기 실시] */ WITH SAMPLE_USER AS ( SELECT 1 AS IDX, '대조영' AS NAME, 27 AS AGE, 'M' AS SEX, '발해' AS DEPT FROM DUAL UNION ALL SELECT 2 AS IDX, '정혜공주' AS NAME, 17 AS AGE, 'G' AS SEX, '발해' AS DEPT FROM DUAL UNION ALL SELECT 3 AS IDX, '왕건' AS NAME, 25 AS AGE, 'M' AS SEX, '고려' AS DEPT FRO..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UNPIVOT , PIVOT 는 오라클 11g 부터 사용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2. UNPIVOT 은 개별 세로 [열] 데이터를 >> 가로 [행] 으로 변환해줍니다 3. PIVOT 은 개별 가로 [행] 데이터를 >> 세로 [열] 로 변환해줍니다 4. [Oracle] 코드 예시 : /* [임시 가상 테이블 만들기 실시] */ WITH SAMPLE_USER AS ( SELECT '홍길동' AS 이름, '국어' AS 과목명칭, 80 AS 과목점수 FROM DUAL UNION ALL SELECT '홍길동' AS 이름, '영어' AS 과목명칭, 85 AS 과목점수 FROM DUAL UNION ALL SELECT..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REGEXP_REPLACE 는 오라클 에서 정규식을 수행하는 함수로, 특정 패턴 문자를 찾아서 데이터를 변경해주는 함수 입니다 2. REGEXP_REPLACE(원본데이터, 정규식, 변경값) 방법으로 문법을 사용합니다 3. [Oracle] 코드 예시 : /* [REGEXP_REPLACE 정규식을 사용해 특정 패턴 문자 변경 및 제거 수행 실시] 1. REGEXP_REPLACE 은 특정 패턴 문자를 찾아서 바꿀려는 값으로 변경해줍니다 2. REGEXP_REPLACE(원본데이터, 정규식, 변경값) 방법으로 문법을 사용합니다 3. 0-9 : 숫자 패턴을 지정합니다 4. a-z : 소문자 패턴을 지정합니다 5. A-Z..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ABS 는 SQL 에서 데이터의 절대값을 구하는 함수 입니다 2. [Oracle] 코드 예시 : /* [abs 사용해 절대값 구하기] 1. abs(데이터) - 데이터의 절대값을 구합니다 */ SELECT ABS(-15) AS 절대값 FROM DUAL; [참고 사이트] https://blog.naver.com/kkh0977/222220323273 78. (Oracle/오라클) abs 사용해 절대값 구하기 /* ==============... blog.naver.com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ROWNUM 은 오라클 행에 순번을 부여 해주는 함수 입니다 2. ROWNUM 은 SELECT 조회 절에 사용 시 행에 순번을 부여해 주며, WHERE 절에서 사용 시 출력 되는 행 개수 제한을 할 수 있습니다 3. [Oracle] 코드 예시 : /* *[rownum 사용해 출력되는 행 개수 제한 실시] *1. where절에서 rownum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DECODE 은 오라클 에서 IF ELSE 조건문과 유사하며,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값을 반환해주는 함수 입니다 2. DECODE(원본값, 비교값, 같을 시 출력, 다를 시 출력) 방법으로 문법을 사용합니다 3. [Oracle] 코드 예시 : /* [decode 사용해 조건 비교 실시 (if, else 유사)] 1. decode(원본값, 비교값, 같을 시 출력, 다를 시 출력) 2. A와 B가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 출력 의미입니다 */ select decode('A','B','TRUE','FALSE') as 조건확인 from dual; select decode('A','A','TRUE','..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NVL 은 오라클 에서 입력 받은 값이 NULL 인 경우 대체 값 (지정 값) 을 반환해주는 함수 입니다 2. NVL2 는 오라클에서 입력 받은 값이 NULL 인 경우 지정 값 / NULL 이 아닌 경우 지정 값을 각각 반환해주는 함수 입니다 3. [Oracle] 코드 예시 : /* *[nvl2 사용해 널 값일 경우, 널 값이 아닐 경우 데이터 출력 실시] * 1. nvl2 는 컬럼 및 데이터를 확인해 널일 경우와 널이 아닐 경우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 nvl2(컬럼 및 데이터, 널이 아닐경우, 널일 경우) */ select nvl2('data', '널이아닙니다', '널입니다') as 널확인 f..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TRIM 은 SQL 에서 입력 받은 문자에서 좌우 양쪽 공백을 제거해주는 함수 입니다 2. LRIM 은 SQL 에서 입력 받은 문자에서 [시작] 좌측 기준 공백을 제거해주는 함수 입니다 3. RTRIM 은 SQL 에서 입력 받은 문자에서 [종료] 우측 기준 공백을 제거해주는 함수 입니다 4. [Oracle] 코드 예시 : /* [TRIM, LTRIM, RTRIM 사용해 양끝쪽공백, 왼쪽공백, 오른쪽공백 제거 실시] 1. TRIM (데이터) - 양끝쪽 공백을 제거합니다 2. LTRIM (데이터) - 왼쪽 공백을 제거합니다 3. RTRIM (데이터) - 오른쪽 공백을 제거합니다 */ SELECT ' 안녕 ..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UPPER 은 SQL 에서 입력 받은 문자를 모두 대문자로 변경해 주는 함수 입니다 2. LOWER 은 SQL 에서 입력 받은 문자를 모두 소문자로 변경해 주는 함수 입니다 3. 문법 : upper('acFRd93df') / lower('acFRd93df') 방법으로 문법을 사용합니다 4. [Oracle] 코드 예시 : /*[전체 대문자 변경]*/ select upper('acFRd93df') as 대문자 from dual; /*[전체 소문자 변경]*/ select lower('acFRd93df') as 소문자 from dual; [참고 사이트] https://blog.naver.com/kkh097..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TRNSLATE 는 오라클에서 특정 문자를 지정된 문자로 치환 하는 함수 입니다 2. TRNSLATE 와 REPLACE 와 차이점은 [포함여부확인] 부분에서 REPLACE는 단어기준으로 찾지만, TRANSLATE는 글자기준으로 한개씩 포함되는지 확인합니다 3. 문법 : TRANSLATE(데이터, 포함여부확인, 변경할값) 으로 사용합니다 4. [Oracle] 코드 예시 : /* [translate 사용해 특정 문자값 개별 확인 후 다른 문자로 치환 실시] 1. TRANSLATE(데이터, 포함여부확인, 변경할값) 으로 사용합니다 2. REPLACE 와 차이점은 [포함여부확인] 부분에서 REPLACE는 단어..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DROP 는 DDL (데이터 정의 언어) 명령입니다 2. DROP 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을 제거합니다 3. DROP 수행 시 테이블의 행, 인덱스 및 권한도 제거됩니다 4. DROP 은 ROLLBACK (실행 취소) 불가능합니다 5. 문법 : DROP TABLE 테이블명;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TRUNCATE 는 DDL (데이터 정의 언어) 명령 입니다 2. TRUNCATE 는 테이블 있는 모든 행을 제거합니다 (데이터 삭제) 3. TRUNCATE 와 WHERE 절을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별적으로 행 삭제 불가능 / 조건 삭제 불가능) 4. TRUNCATE 는 트랜잭션 로그에 한 번만 기록되므로 DELETE보다 성능 면에서 더 빠릅니다 5. TRUNCATE 는 인덱싱 된 VIEW(뷰)와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6. TRUNCATE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테이블에 대한 ALTER 권한이 필요합니다 7. TRUNCATE 는 ROLLBACK (실행 취소) 이 불가능합니다..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DELETE 는 SQL 에서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삭제 할 때 사용되는 함수 입니다 2. DELETE 는 WHERE 절과 함께 사용하여 특정 행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3. DELETE 는 삭제된 각 행에 대해 트랜잭션 로그를 기록합니다. 따라서 TRUNCATE보다 느립니다. 4. DELETE 는 ROLLBACK (실행 취소) 을 할 수 있습니다 5. DELETE 시 테이블의 용량은 감소하지 않습니다 6. DELETE 함수는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삭제 할 뿐, 테이블을 생성 초기 상태로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7. [Oracle] 코드 예시 : /*[테이블 데이터 전체 삭제 실시]..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UADATE 는 SQL 에서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수정 할 때 사용되는 함수 입니다 2. [Oracle] 코드 예시 : /* [update 문을 사용해서 다중 컬럼 데이터 수정 및 다중 조건 지정 실시] 1. update : 특정 테이블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합니다 2. 문법 : update [테이블] set [수정할 컬럼 및 데이터] where [조건] */ update test_user set t_age = '35', t_dept = '회계부', t_phone = '01012345678' where t_idx = '103' and t_name = '김회계'; [참고 사이트] https://blog.nave..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INSERT 함수는 SQL 에서 데이터를 테이블에 삽입 할 때 사용되는 함수 입니다 2. [Oracle] 코드 예시 : /* [insert 문 사용해 데이터 삽입 실시 - 전체 데이터, 컬럼 부분 데이터] 1. insert 문은 특정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해줍니다 2. 전체 데이터 삽입 문법 : insert into 테이블 values (데이터); 3. 컬럼 지정 데이터 삽입 : insert into 테이블 (컬럼) values (데이터); */ -- [전체 데이터 삽입] insert into test_user values ('102', '김생산', 'm', '생산부', '01012345678', 'A1-16', '..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CAST 함수는 SQL 에서 데이터 형 변환을 수행 시 사용되는 함수 입니다 2. cast (데이터 as 타입) 방법으로 문법을 사용합니다 3. [Oracle] 코드 예시 : /* [cast 사용해 number, varchar2 간 타입 변경 실시] 1. CAST(데이터 AS 타입형태) 형식으로 타입 변경을 실시합니다 */ SELECT CAST('25' AS NUMBER(10)) AS 정수변환, CAST(30 AS VARCHAR2(10)) AS 문자열변환 FROM DUAL; [참고 사이트] https://blog.naver.com/kkh0977/222212279968 63. (Oracle/오라클) cast..

[학습 구분] 과목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설 명] 1. sysdate , getdate 함수는 현재 날짜 및 시간 을 확인 할 수 있는 DATE 함수 입니다 2. ORACLE , MYSQL : sysdate() 를 사용해 현재 날짜 및 시간을 확인 합니다 3. MSSQL : getdate() 를 사용해 현재 날짜 및 시간을 확인 합니다 4. [Oracle] 코드 예시 : /* [sysdate, current_date 사용해서 현재 날짜 및 시간 확인 실시] 1. sysdate - 프로그램 상 현재 시간을 확인합니다 (오라클이 설치되어 있는 곳의 시간) 2. current_date - 세션 상 현재 시간을 확인합니다 (설정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