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기술 & IT용어 (264)
투케이2K
[제 목][IT 용어] 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설명 [설 명]1. NIC 란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의 약어로,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입니다 >> 컴퓨터의 구성품 중 하나로 한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간 신호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하드웨어입니다2. NIC 는 컴퓨터와 네트워크 사이의 물리적 연결을 담당하여 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3. NIC 는 Wifi 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컴퓨터가 통신을 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하드웨어입니다 >> 컴퓨터 혹은 노트북에 네트워크 사용 포트 (이더넷 케이블을 꽂을 수 있는 구멍) >> NIC 는 컴퓨터 마더 보드에 직접 통합되거나 확장 ..
[제 목][IT 용어] DDNS 동적 DNS 용어 설명 [설 명] 1. DDNS 란 IP 주소가 변경될 때 DNS 레코드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실시간으로 DNS를 갱신) >> 도메인 이름 관리가 더 쉽고 효율적이며, 사용 편의성을 향상 >> IP 주소가 지속해서 업데이트되더라도 올바른 IP 주소로 업데이트된 DNS를 유지 >> 조직 시스템의 IP 주소가 변경됨에 따라 DNS 레코드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2. DDNS 는 주로 도메인의 IP가 유동적인 경우 사용되며, IP 주소가 바뀌어도 DDNS로 설정한 도메인값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 DDNS 는 동적 IP 주소로 작동하기 때문에 일반 DNS 와 다르므로 홈 네트워크에 적합합니다3. 참고 사이트..
[제 목][IT 용어] WAF (Web Application Firewall) 와프 용어 설명 [설 명] 1. WAF 란 트래픽을 모니터링 및 필터링하고,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들어오는 악성 트래픽 또는 앱에서 나가는 무단 데이터를 차단해 일반적인 공격으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 >> 단, WAF 솔루션은 지속적으로 조정이 필요합니다 >> 프로세스는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IT 보안팀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애플리케이션 보안에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2. WAF 는 제로데이 공격, DDoS(Distributed Denial-of-Service) 공격, SQL 인젝션,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등의 위협으로부터 비즈니스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과 웹 서버를..
[제 목] [IT 용어] 핸드 셰이킹 (Hand shaking) 기본 개념 및 관련 용어 설명 [설 명] 1. 핸드 셰이킹 이란 본래 악수를 뜻하는 단어로 IT 에서는 정보기술과 전기통신 및 관련 분야에서 채널에 대한 정상적인 통신이 시작 되기 전에 두개의 실체 간에 확립 된 통신 채널의 변수를 동적으로 설정하는 자동화된 협상 과정입니다 2. 핸드 셰이킹 은 채널의 물리적인 확립이 잇따르며, 정상적인 정보 전송 이전)에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3. 핸드 셰이킹 관련 주요 용어 : >> SYN : Synchronize sequence number, 연결 시작 요청을 의미함 >> ACK : Acknowledgement, 응답 확인을 의미함 >> FIN : Finish, 연결 종료 요청을 의미함 4. 예시 ..
[제 목] [IT 용어] 킥오프 (KickOff) 용어 설명 [설 명] 1. 킥오프 란 원래 축구 경기에서 경기의 시작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비즈니스 적으로는 프로젝트 팀과 고객과의 첫 회의를 의미합니다 2. 킥오프 에서는 계획에 필요한 기본 요소들을 확정하는 첫 기획 회의 입니다 3. 킥오프 미팅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모든 인원이 모여 (발주사, 현업, 기획, 개발, 디자인 등)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첫회의로 쉽게 가질 수 없는 회의인 만큼 각 파트에서 기본 요소들을 반드시 확정해야합니다
[제 목] [IT 용어] TBD (To Be Decided) 용어 설명 [설 명] 1. TBD 란 '곧 결정될 것' 이라는 의미로 '발표 예정'임을 의미합니다 2. TBD 는 근시일에 결정되기는 할 건데, 어떤 후보군이 올라 올지조차 불확실하다는 의미의 약자입니다 3. TBD 사용 예시 : - 개발, 운영에 투입될 인원수 결정이 안 되었을 경우 - 장소나 시간 등 일정에 관련된 세부 사항 결정이 안 되었을 경우 - 서비스를 제공할 때 어떤 업체와 계약을 맺을 지 확약이 안 된 경우 - 제작물에서 어떤 제조사의 부품을 사용할 지 확정되지 않은 경우 - 하위 라운드의 경기가 끝나지 않아 승자를 대진표에 표기할 수 없는 토너먼트 등 경기의 경우 4. 참고 사이트 : https://namu.wiki/w/TBD
[제 목] [IT 용어] QC (Quality Control) 용어 설명 [설 명] 1. QC 란 Quality Control 의미로 품질에 대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 되는 운영 상의 기법으로 품질 관리를 의미합니다 2. QC 는 고객의 관점에 많은 비중을 두는 활동이며, 해당 제품에 대한 좀 더 포괄적인 책임을 지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3. QC 는 개발자가 특정 기능을 개발 한 후 기능 테스트 요청 수행 시 테스트를 진행하며, 이상 증상 발견 시 해당 내용을 취합해 개발자에게 전달해 줍니다
[제 목] [IT 용어] PbD 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 설명 [설 명] 1. PbD 란 Privacy by Design 이란 의미로 개인정보 안전성 강화를 위해 제품 및 서비스의 초기 기획단계에서부터 프라이버시 보호 및 강화 조치를 마련하는 광범위한 과정을 의미합니다 >> IoT, 빅데이터, AI 등 신기술로 인한 개인정보 보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적합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 2. PbD는 1990년대 중반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정보프라이버시위원회(Information & Privacy Commissioner, IPC)의 앤 카보키안(Ann Cavoukian) 박사가 언급하면서 알려졌고, 오늘날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 최소화와 함께 국민과 소비자의 신뢰를 쌓는 필수도구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3. PbD ..
[제 목] [IT 용어] Blocking 블로킹 과 Non-blocking 논블로킹 용어 설명 - 제어권 [설 명] --------------------------------------------------------------------------------- [1]. Blocking 블로킹 개념 (동기 방식 - 작업 대기) - 블로킹 이란 프로그래밍 방식에서 수행 제어권을 넘겨 준 후 특정 I/O 작업 완료 및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될 때 까지 이벤트를 기다리고 있는 것 입니다 - 블로킹 은 제어권을 넘겨 준 후 , 다른 작업이 완료 될 때 까지 대기 후 다시 제어권을 돌려 받아 나머지 작업을 수행합니다 - 동작 예시 : A 함수 동작 수행 (제어권 가짐) 특정 시점에 A 함수에서 B 함수 호..
[제 목] [IT 용어] CI , DI 용어 설명 - 개인 식별 정보 [설 명] --------------------------------------------------------------------------------- [1]. CI 설명 : - CI 란 Connection Information 연계 정보로 88 byte 값을 가지는 개인 고유 식별 키 입니다 - CI 는 쉽게 설명해서 개인에게 부여되는 고유 값으로 온라인상 주민등록 번호 입니다 - CI 는 한국에만 있는 개인 식별 키며 휴대폰, PIN, 공인 인증서 등으로 본인 인증 수행 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 CI 는 각 PG 사마다 다른 값이 아니라, 개인별로 고유한 것이며 서로 다른 서비스에서 CI 키 값을 공유해서 사용자 확인..
[제 목] [IT 용어] BFCache (캐시) 용어 설명 [설 명] 1. BFCache 란 사용자가 페이지를 이동할 때 페이지 전체의 스냅샷 (js heap) 을 저장하는 메모리 내부 캐시입니다 >> 네트워크 과사용 방지 및 캐싱 방식으로 빠른 로드 방식 장점 2. BFCache 가 활성화 된 경우,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된 웹 페이지를 로드 (복원) 합니다 >> BFCache 로 복원 된 페이지는 Sever 로 Request 하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된 기존 데이터를 사용 3. BFCache 는 사용자가 페이지를 이동 (앞으로가기, 뒤로가기) 할 때 사용됩니다 >> BFCache 는 앞으로가기, 뒤로가기 등 페이지 전환 이벤트 발생 시 사용됨 4. BFCache 를 사용 시 빠른 로..
[제 목] [IT 용어] MAU (Monthly Active Users) 용어 설명 [설 명] 1. MAU (Monthly Active Users) 란 30일 동안 앱을 사용하는 순 유저 수를 의미합니다 2. MAU 는 특정 30일 동안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활동하는 순 유저 수를 식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측정 지표로 보통 유저 ID, 유저 이름 또는 이메일과 같은 고유 식별자를 통해 MAU 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3. MAU 계산 시 고려 사항 : - 활성 유저에 대한 기준 정하기 : 로그인, 앱 사용 시간 측정 (ex: 2분 이상 앱 사용) - 앱 사용 활동 빈도 정의 : 인앱 구매를 3회 이상, 이벤트 참여 횟수 - 데이터 수집 : 특정 달에 내가 정한 활성 유저 기준을 충족시키는 고유한..
[제 목] [IT 용어] MOQ (Minimum Order Quantity) 용어 설명 [설 명] 1. MOQ (Minimum Order Quantity) 란 ? 간단하게 설명해 [최소 주문 수량] 을 의미합니다 2. MOQ 는 제조 업체가 한 번에 생산할 수 있는 가장 적은 양의 제품 수를 의미하며, 발주 업체가 제조 업체의 물품을 발주 의뢰하기 위해서는 MOQ 를 기준으로 최소 수량을 만족해야하며, MOQ를 기준으로 견적을 논의할 수 있습니다 3. MOQ 가 필요한 이유 : - 제조 업체의 입장에서 제품 양산을 위해 금형 제작, 공정, 설계, 원재료 구입, 인건비 등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데 이러한 생산 비용을 고려하여 공장의 설비를 가동해도 손해를 보지 않는 최소한의 수량을 설정하기 위함
[제 목] [IT 용어] 와이파이 Wifi WPA 개념 설명 (WPA2 , WPA3) [설 명] ------------------------------------------------------------------------------ [WPA] 1. WPA 란 Wi-Fi Protected Access (와이파이 보호 접속) 의미로,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감시하에 인증을 수행하는 것 입니다 2. WPA 는 유선 동등 프라이버스 (WEP, Wired Equivalent Privacy) 의 취약점을 보완 하기 위해 등장 되었습니다 3. WPA 모드 : - Enterprise 모드 : 각 사용자별로 유일한 세션 키를 가짐, 802.1x/EAP를 지원하는 인증 서버가 필요, 확장성이 좋음 - Persona..
[제 목] [IT 용어] JSESSIONID 세션 키 설명 [설 명] 1. JSESSIONID 란 WAS 톰캣 컨테이너에서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발급 되는 키 (Key) 입니다 2. JSESSIONID 는 WAS 톰캣이 http 최초 요청이 들어온 클라이언트에게 발급해 줍니다 >> 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에 접근 >> 톰캣은 Response 헤더에 JSESSIONID 발급 >> Set-Cookie: JSESSIONID=4BB861E0BE1A9A7DE7DB926DF0772BDE 3. JSESSIONID 가 발급된 클라이언트는 Cookie 에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ookie 는 http 통신에서 인증 , 정보 기록 및 전달에 사용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입니다 ..
[제 목] [IT 용어] MOU (양해 각서) 설명 [설 명] 1. MOU 란 각 당사자가 어떤 조치를 취하거나, 비즈니스 사업 거래를 하거나, 새로운 협력 관계를 체결할 의도를 명시한 계약서 입니다. >> MOU 는 비록 법률 문서는 아니지만, 특정 요소에 법적 구속력과 강제력을 부여할 수 는 있습니다 2. MOU 는 비즈니스 계약 상대자와 거래를 막 시작한 초기 단계에 구속력 있는 공식 적인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각 당사자간 협의 하에 작성하게 됩니다 3. MOU 는 양 당사자가 협력하는 방식을 명확히 정의하고, 각 당사자의 기대치와 책임감을 명시합니다 4. MOU 는 파트너 십에 대한 상호 이해관계를 달성하여, 서로 신뢰할 수 있는 계약 관계로 발전하는 것을 목표 합..
[제 목] [IT 용어] 사이드 이펙트 (Side Effect) 용어 설명 [설 명] 1. 사이드 이펙트 란 예상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문제가 생긴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사이트 이펙트 는 개발자 입장에서 소스 코드 간 의존성 을 가지고 있는데, 문제가 발생하는 A 이슈 수정 후 다른 이슈가 연달아 발생할 때 사이드 이펙트가 발생 했다고 합니다 3. 사이드 이펙트 발생 시 개발자는 처음 수정 된 A 이슈와 연관된 코드 및 로직 들을 살펴 본 후 다시, 전반적인 코드를 수정해야 합니다 >> 수정이 힘들 시, 다시 코드를 원복한 후 .. 처음 부터 다시 파악이 필요합니다 ..
[제 목] [IT 용어]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용어 설명 [설 명] 1. IGP 란 하나의 도메인 및 AS (Autonomous System) 자율 시스템 내에서 라우팅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입니다 >> 네트워크 집합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동일 그룹 내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할 때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2. IGP 는 단일 시스템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제어 정보 등을 전달하는 데 주로 사용 됩니다 3. IGP 종류 : >>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 벡터 프로토콜) 로, 홉(Hop)을 기준으로 하고 최대 15홉까지 지원 - 경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라우팅 정보를 ..
[제 목] [IT 용어] 탈옥 (iOS jailbreak) 용어 설명 [설 명] 1. 탈옥 이란 iOS의 샌드박스 제한을 풀어 타 회사에서 사용하는 서명되지 않은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2. 탈옥 은 주로 애플과 앱 스토어가 막아 놓은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 탈옥을 함으로써 앱스토어를 이용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 가능 >> 탈옥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앱이나 인터페이스 사용 가능 3. 탈옥 후에는 iOS 기기의 보안이 탈옥 전 상태보다 훨씬 취약하며, iOS 시스템 자체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4. 참고 사이트 : https://ko.wikipedia.org/wiki/IOS_%ED%83%88%EC%98%A5
[제 목] [IT 용어] 루팅 (rooting) 용어 설명 [설 명] 1. 루팅 이란 모바일 기기에서 구동되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상에서 최상위 루트 권한을 얻음으로 해당 기기의 생산자 또는 판매자 측에서 걸어 놓은 제약을 해제하는 행위 입니다 2. 루팅을 통해 해당 기기의 사용자들은 생산자 또는 판매자 측에서 공식 제공하는 버전보다 더 높은 버전의 안드로이드나 CyanogenMod 처럼 사용자들이 임의로 개조한 안드로이드를 설치 및 구동할 수 있습니다 >> 루팅 시 제공 되지 않는 프로그램들을 구입하거나 일반 사용자 권한 이상의 권한 등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들을(백업 프로그램, 하드웨어 해킹 프로그램 등) 사용 가능 3. 한 번 루팅된 안드로이드는 언루팅 하지 않는 이상 몇 번이고 super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