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80)
투케이2K
[제 목] [IT 용어] MAU (Monthly Active Users) 용어 설명 [설 명] 1. MAU (Monthly Active Users) 란 30일 동안 앱을 사용하는 순 유저 수를 의미합니다 2. MAU 는 특정 30일 동안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활동하는 순 유저 수를 식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측정 지표로 보통 유저 ID, 유저 이름 또는 이메일과 같은 고유 식별자를 통해 MAU 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3. MAU 계산 시 고려 사항 : - 활성 유저에 대한 기준 정하기 : 로그인, 앱 사용 시간 측정 (ex: 2분 이상 앱 사용) - 앱 사용 활동 빈도 정의 : 인앱 구매를 3회 이상, 이벤트 참여 횟수 - 데이터 수집 : 특정 달에 내가 정한 활성 유저 기준을 충족시키는 고유한..

[설 명] [IT 정보] 파일질라 (FileZilla) 사용해 DotHome 닷홈 호스팅 서버 html 파일 업로드 및 확인 방법 [사전 조건] 1. 닷홈 무료 호스팅 서버 등록 필요 2. 파일질라 클라이언트 다운로드 필요 3. 참고 사이트 : https://www.dothome.co.kr/ https://filezilla.softonic.kr/mac [설 명]
[제 목] [IT 용어] JSESSIONID 세션 키 설명 [설 명] 1. JSESSIONID 란 WAS 톰캣 컨테이너에서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발급 되는 키 (Key) 입니다 2. JSESSIONID 는 WAS 톰캣이 http 최초 요청이 들어온 클라이언트에게 발급해 줍니다 >> 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에 접근 >> 톰캣은 Response 헤더에 JSESSIONID 발급 >> Set-Cookie: JSESSIONID=4BB861E0BE1A9A7DE7DB926DF0772BDE 3. JSESSIONID 가 발급된 클라이언트는 Cookie 에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ookie 는 http 통신에서 인증 , 정보 기록 및 전달에 사용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입니다 ..
[제 목] [IT 용어] MOU (양해 각서) 설명 [설 명] 1. MOU 란 각 당사자가 어떤 조치를 취하거나, 비즈니스 사업 거래를 하거나, 새로운 협력 관계를 체결할 의도를 명시한 계약서 입니다. >> MOU 는 비록 법률 문서는 아니지만, 특정 요소에 법적 구속력과 강제력을 부여할 수 는 있습니다 2. MOU 는 비즈니스 계약 상대자와 거래를 막 시작한 초기 단계에 구속력 있는 공식 적인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각 당사자간 협의 하에 작성하게 됩니다 3. MOU 는 양 당사자가 협력하는 방식을 명확히 정의하고, 각 당사자의 기대치와 책임감을 명시합니다 4. MOU 는 파트너 십에 대한 상호 이해관계를 달성하여, 서로 신뢰할 수 있는 계약 관계로 발전하는 것을 목표 합..
[제 목] [IT 용어] 사이드 이펙트 (Side Effect) 용어 설명 [설 명] 1. 사이드 이펙트 란 예상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문제가 생긴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사이트 이펙트 는 개발자 입장에서 소스 코드 간 의존성 을 가지고 있는데, 문제가 발생하는 A 이슈 수정 후 다른 이슈가 연달아 발생할 때 사이드 이펙트가 발생 했다고 합니다 3. 사이드 이펙트 발생 시 개발자는 처음 수정 된 A 이슈와 연관된 코드 및 로직 들을 살펴 본 후 다시, 전반적인 코드를 수정해야 합니다 >> 수정이 힘들 시, 다시 코드를 원복한 후 .. 처음 부터 다시 파악이 필요합니다 ..
[제 목] [IT 용어]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용어 설명 [설 명] 1. IGP 란 하나의 도메인 및 AS (Autonomous System) 자율 시스템 내에서 라우팅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입니다 >> 네트워크 집합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동일 그룹 내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할 때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2. IGP 는 단일 시스템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제어 정보 등을 전달하는 데 주로 사용 됩니다 3. IGP 종류 : >>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 벡터 프로토콜) 로, 홉(Hop)을 기준으로 하고 최대 15홉까지 지원 - 경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라우팅 정보를 ..
[제 목] [IT 용어] 탈옥 (iOS jailbreak) 용어 설명 [설 명] 1. 탈옥 이란 iOS의 샌드박스 제한을 풀어 타 회사에서 사용하는 서명되지 않은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2. 탈옥 은 주로 애플과 앱 스토어가 막아 놓은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 탈옥을 함으로써 앱스토어를 이용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 가능 >> 탈옥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앱이나 인터페이스 사용 가능 3. 탈옥 후에는 iOS 기기의 보안이 탈옥 전 상태보다 훨씬 취약하며, iOS 시스템 자체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4. 참고 사이트 : https://ko.wikipedia.org/wiki/IOS_%ED%83%88%EC%98%A5
[제 목] [IT 용어] 루팅 (rooting) 용어 설명 [설 명] 1. 루팅 이란 모바일 기기에서 구동되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상에서 최상위 루트 권한을 얻음으로 해당 기기의 생산자 또는 판매자 측에서 걸어 놓은 제약을 해제하는 행위 입니다 2. 루팅을 통해 해당 기기의 사용자들은 생산자 또는 판매자 측에서 공식 제공하는 버전보다 더 높은 버전의 안드로이드나 CyanogenMod 처럼 사용자들이 임의로 개조한 안드로이드를 설치 및 구동할 수 있습니다 >> 루팅 시 제공 되지 않는 프로그램들을 구입하거나 일반 사용자 권한 이상의 권한 등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들을(백업 프로그램, 하드웨어 해킹 프로그램 등) 사용 가능 3. 한 번 루팅된 안드로이드는 언루팅 하지 않는 이상 몇 번이고 supersu..
[제 목] [IT 용어] PMO (Project Management Office) 용어 설명 [설 명] 1. PMO 란 프로젝트를 조정된 중앙 통제 방식으로 관리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책임을 배정받은 조직 부서나 주체를 의미합니다 >> 쉽게 설명해,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권한을 부여 받은 담당 부서 2. PMO 역할은 프로젝트 관리를 지원하는 기능부터 직접적인 관리 및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수준까지 다양하며, 해당 관리 및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사전 권한을 위임을 받아야 합니다 >>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모범적 실무관행, 표준 식별과 개발 >> 프로젝트 감사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 표준 정책, 절차, 템플릿 준수 여부 감시와 보고 >> 프로젝트 간 정보 교환 조정 3. PMO 유형 : >> 지원형 ..
[제 목] [IT 용어]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업무 자동화 설명 [설 명] 1. RPA 란 사람이 컴퓨터로 하는 반복적인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화하는 기술 입니다 2. RPA 목적은 기계적이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지루한 작업을 로봇이 대신 처리해 주고 작업자가 보다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하게 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것 입니다 >> 속도 및 오류 발생 측면에서도 사람이 하는 것 보다 로봇이 하는 것이 더 효율적 3. RPA 도입 대상 선정 기준 : >> 반복적/규칙기반 업무 >> 구조화된 데이터 기반 업무 >> 대량의 노동 집약적/반복적 업무 >> 다수의 내/외부 시스템 접근 업무 4. RPA 소프트웨어 개발 및 솔루션 도입 과정 : >> 도입..
[제 목] [IT 용어] 트래픽 (Traffic) 용어 설명 [설 명] 1. 트래픽 이란 통신망을 통과하는 서버의 데이터 전송량을 의미 합니다 2. 트래픽 은 외부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을 많이 시도할 수록 증가하며, 트래픽이 서버가 버틸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 지속적으로 들어올 경우 서버는 버티지 못하고 다운되어 버립니다 >> 과부하가 발생할 정도로 http 요청 인입 : 많은 사람들이 방문 >> 서비스 거부 공격 (DoS) : 시스템의 자원을 고갈시키거나 지나치게 바쁘게 만들어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하는 것 3. 서버 관리자 및 각종 호스팅 업체에서는 지나친 트래픽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주기당 트래픽 용량 제한을 걸어 고객과 계약한 트래픽 용량을 초과하게 될 경우 해당 주기가 끝날..
[제 목] [IT 용어] 핑거 프린팅 (Finger Printing) 용어 설명 [설 명] 1. 핑거 프린팅 이란 통상, 불법 유통 디지털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을 의미합니다 >> 인간의 감지 능력으로는 검출할 수 없도록 사용자의 정보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에 삽입하는 기술 2. 핑거 프린팅 은 저작권자나 판매자의 정보가 아닌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해 콘텐츠 불법 배포자를 추적하는 데 사용 됩니다 3. 핑거 프린팅 은 기밀 정보를 인간의 의식/감지 능력으로는 검출 못하게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는 측면에서는 디지털 워터마킹과 유사하지만, 디지털 워터마팅 기술은 저작권자 또는 판매자의 정보를 삽입하며, 핑커프린팅은 사용자의 정보를 삽입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4. 참고 사이트 ..
[제 목] [IT 용어] 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용어 설명 [설 명] 1. VDI 란 가상 데스크톱 인프라 의미로,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가상 데스크톱을 제공하고 관리하는 것을 뜻 합니다 >> 직원이 어디서나 조직의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업무 환경 제공 >> 사용자는 장소와 기기에 구애받지 않고 가상 데스크톱에 액세스할 수 있고, 모든 처리는 호스트 서버에서 이루어진다 2. VDI 환경에서 IT 관리자는 가상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고, 서비스형 인터넷을 통해 조직의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데스크탑을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3. 사용자는 장치나 위치와 상관없이 가상 데스크탑에 액세스할 수 있지만, 업무를 지속하려면 최종 사용자가 서버에 계속 연결..
[제 목] [IT 용어] 오가닉 유저 (Organic User) 용어 설명 [설 명] 1. 오가닉 유저 란 앱 마케팅에서 주로 활용되는 용어로, 광고 없이 [자연 유입이 이루어진 유저] 를 뜻 합니다 2. 오가닉 유저 는 자연적 및 인기에 편승해 유입/설치가 이루어진 고객을 모두 포함합니다 3. 오가닉 유저 는 광고로 유입된 유저에 비해 충성도가 높은 장점있습니다 >> 오가닉 유저는 오락 및 개인 취미, 흥미 등으로 인해 자연 유입 되는 경우가 많음 4. 회사에서 추진하는 광고 및 캠페인이 활발해질수록 간접 효과를 통해 오가닉 유저 이입이 많아 질 수 있습니다
[제 목] [IT 용어] CRC (Customer Retention Cost) 고객 유지 비용 용어 설명 [설 명] 1. CRC 란 고객 유지 비용 이란 의미로, 특정 기간 동안 고객 유지에 지출하는 금액을 뜻 합니다 >> 고객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발생하는 모든 비용 포함 2. CRC 는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마케팅 비용으로, 고객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용 입니다 3. CRC 비용은 특정 기간의 활성 고객 수로 나누어 고객당 평균 CRC 를 계산해 비용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4. CRC 비용 구성 예시 : >> 마케팅, 영업 및 고객 응대 팀 은 캠페인을 생성 및 구현하고, 필요한 자료를 고객에게 교육하고, 고객 서비스 및 지원을 제공하는 등의 비용을 지출 >> 고객 관리..
[제 목] [IT 용어] IMEI (Intel Management Engine Interface)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 번호 용어 설명 [설 명] 1. IMEI 란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번호 의미로, 제조사가 단말기를 제작할 때 부여하는 15자리 숫자로 된 번호 입니다 2. IMEI 는 단말기 제조사, 모델, 일련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기기에서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역할을 나타내는 것 입니다 >> 스마트폰 앱이 이 정보를 가져가게 된다면 개인 정보 노출 등 보안 상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3. 기기 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IMEI 가 설정 되지만, 듀얼 SIM 이 탑재된 단말기의 경우 IMEI 를 2개 가질 수 있습니다 4. IMEI 를 사용해 휴대폰의 분실 / 도난여부, 선택약정할인 ..
[제 목] [IT 용어] 스마트폰 도즈 모드 (DOZE MODE) 용어 설명 [설 명] 1. 도즈 모드 란 안드로이드 6.0 에서 추가된 것으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네트워크 및 CPU 자원 사용을 제한 하는 것 입니다 2. 도즈 모드 는 사용자가 화면을 끄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진입 하게 되며, 기기를 절전 모드로 전환 시킵니다 3. 도즈 모드 로 전환 된 기기는 블루투스, 네트워크, 서비스 동작 등에 제한이 생깁니다 4. 사용자가 기기를 움직이거나, 화면을 켜거나, 충전기를 연결하여 기기 절전 모드를 해제하면 시스템은 도즈 모드를 종료하고 모든 서비스 및 앱 활동이 정상적으로 돌아갑니다 5. 안드로이드 기준에서 [설정 > 배터리 > 배터리 최적화] 절전 모드 제외 앱 설정으로 도즈..
[제 목] [IT 용어] 화이트 리스트 (White List) 용어 설명 [설 명] 1. 화이트 리스트 란 보안 기본 정책이 모두 차단인 상황에서 예외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대상을 지정하는 방식을 뜻 합니다 2. 화이트 리스트 에 등록 된 특정 대상은 권한 부여, 서비스 사용, 제한 기능 사용, 특정 폴더 이동 및 접근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화이트 리스트 의 반대 말로는 블랙 리스트가 있으며, 블랙 리스트는 기본 정책이 모두 허용인 상황에서 예외적으로 차단하는 대상을 지정하는 것 입니다 4. 참고 사이트 : https://itwiki.kr/w/%ED%99%94%EC%9D%B4%ED%8A%B8%EB%A6%AC%EC%8A%A4%ED%8A%B8
[제 목] [IT 용어] 클론 코딩 용어 설명 [설 명] 1. 클론 코딩 이란 이미 출시된 서비스의 기획 및 디자인을 카피 (복사) 한 후 해당 서비스에 들어가는 로직 및 기능을 직접 구현하는 것입니다 >> 서비스 이해 및 구현된 결과물에 대한 복습 과정에 효과적 2. 클론 코딩 은 결과물 동작 및 화면 UI 등을 모두 알고 있는 상태에서 어떻게 개발되었는지 모를 때, 직접 로직 및 기능을 다시 구현하며 해당 서비스를 이해하고 개인 스킬을 점검하기에 좋은 코딩입니다 3. 클론 코딩 은 개발자가 다시 밑바닥 부터 직접 전체 서비스를 다시 만들어 가기 때문에 코딩 공부 및 서비스 이해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4. 클론 코딩 은 대학생 및 현업 개발자 들도 개인 스킬 향상 및 학습을 위해 많이 사용되며..
[제 목] [IT 용어] 날코딩 용어 설명 [설 명] 1. 날코딩 이란 프로그램 개발자들의 은어로 프로그래밍에 도움이 되는 개발도구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오직 텍스트 에디터 프로그램을 사용해 모든 기능 및 로직을 직접 구현하는 것 입니다 >> 프레임워크, 공통 함수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개발자가 직접 모두 구현 2. 날코딩은 흔히 메모장 및 기타 텍스트 에디터를 사용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 >> VSCODE 나 서브라임 텍스트 등 텍스트 에디터 사용 3. 날코딩 수행 시 문법 학습 측면 성에서는 많은 도움이 되지만, 자잘한 세미콜론, 띄어쓰기 오류 등에 조심해야합니다 4. 참고 사이트 : https://namu.wiki/w/%EB%82%A0%EC%BD%94%EB%94%A9